반응형
DOCTYPE html 선언 의미
- 웹문서가
어떤 버전의 html 언어
로 작성되었는지 결정하는 기능 - DTD로 정의되어 웹브라우저에 전달됨
브라우저
: 선언된 문서 버전에 맞는 html 기술로 페이지 로드
DTD란?
-
Document Type Declaration
-
브라우저 랜더링 모드를 지정해 줌
-
유효성 검증기의 기준이 됨
-
XHTML 문서
의 상단에 반드시 선언해야 함⇒ 생략하거나 형식이 잘못되면 엉뚱한 결과물이 출력되는 문제 발생함
⇒ 웹 브라우저마다 코드의 해석방식이 다른
호환모드(Quirks mode)
로 랜더링되기 때문에
DTD 기본형식
-
최상위 element name: 이 문서는 html 문서이다.
-
공개 범위: 국제적이다.
-
DTD 만든 기관: 비공인인증인 W3C기관에 의해 XHTML 1.0을 Transitional 방식으로 영어공용어로 출력한다.
-
참조할 DTD 문서: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DOCTYPE html PUBLIC"-//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문서 버전의 종류
- html5
- html4 이하
- xhtml
🌟 구버전(html4 이하)과 신버전(html5)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문서 선언은꼭 해야 한다.
html 문서 버전별 선언 방법
참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