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eb Front End

    [리뷰] 팀 개발을 위한 Git∙GitHub 시작하기

    [리뷰] 팀 개발을 위한 Git∙GitHub 시작하기

    [리뷰] 팀 개발을 위한 Git∙GitHub 시작하기 책의 구성 책은 크게 3가지 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GUI로도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자 상황에 맞는 원하는 단계를 골라서 공부할 수 있는 점이 가장 좋다. GitHub 시작하기 GUI로 GitHub 사용법 익히기 CLI로 GitHub 사용법 익히기 리뷰 이 책은 GitHub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이 봐도 좋다. 그리고 어느 정도 기본 명령어(add, commit, push)를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 봐도 좋다. GitHub를 시작하는 방법부터 명령어의 의미까지 재미있게 실습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나 같은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CLI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뒤쪽에서 유용한 명령어와 명령어의 의미를 찾아보며 공부했다. 그리고 실습 위주로 ..

    Shell Script 명령어 정리

    Shell Script Shell Script 명령어 정리 기본 명령어 명령어 설명 pwd 현재 경로 출력 ls 현재 디렉토리에서의 파일 리스트 출력 ls -l 접근권한, 생성시간을 포함한 파일 상세 리스트 출력 mkdir [directory name]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 cd cd ./ cd ../ cd [path] home 디렉토리로 이동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 바로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설정한 경로 디렉토리로 이동 cat test.txt test.txt의 내용 출력 history [n] 지금까지 입력한 명령어 목록 출력 숫자를 정해 최근 n개의 명령어만 출력하게 할 수도 있다. cp filename1 directory 파일 복사 mv 파일 이동 rm 파일 삭제 디렉토리 삭제 시, -r 옵션 부여 f..

    [리뷰]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리뷰

    [리뷰]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리뷰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17가지 실무 개발 기술 리뷰 은 크게 소프트웨어, 데이터, 웹에 대한 기술을 주제로 삼고 있다. 나는 웹 기술에 관심이 있어서 집중적으로 읽고 리뷰를 쓰려고 한다. 전체 목차 소프트웨어를 지탱하는 기술 문자열 인코딩 다국어 처리 날짜와 시간 정규 표현식 범용 고유 식별자 난수 해시 함수 데이터 처리 기술 JSON YAML XML 프로토콜 버퍼 Base 64 데이터 압축(zlib) 웹을 지탱하는 기술 HTTP RESTful API HTTPS OAuth 2.0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기술들 나는 최근 프론트엔드 개발을 공부하고 있어서 한 번씩 들었던 단어들이 있었다. 특히 웹을 지탱하는 기술 파트를 나는 인상깊게 봤다. 웹에 있어서 꼭 알아야 하지만 깊게 살펴보지 않고 사용했던 개..

    우분투에서 웹 프론트엔드 작업 파일 빌드하기

    웹 작업은 node + webpack을 사용하고 서버 배포 작업은 우분투 등 리눅스 환경에서 분업하여 한다고 하자. 백엔드 측에서 빌드하고 그 파일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node + yarn 을 사용했다. dotenv와 같이 gitignore에 올라가 있는 시크릿 파일이 있다면 따로 받아서 프로젝트 루트에 위치시키기 gitignore에 올라가 있는 파일은 보안 문제로 올라가지 않는 파일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메일, 메신저 등을 이용해 따로 받는다. nodejs 설치하기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xx.xx | sudo -E bash - // xx.xx에 프론트 측 노드 버전 입력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

    [리뷰] 리팩터링 2판 - 리팩토링을 해야 하는 이유

    [리뷰] 리팩터링 2판 - 리팩토링을 해야 하는 이유

    리팩터링 2판은 전반적으로 점진적 개선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 중 나는 1, 2장을 자세히 읽고 나머지 부분은 키워드 위주로 빠르게 읽고 리뷰를 작성한다. 먼저 책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이 책의 예시 코드는 모두 자바스크립트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특성인 함수가 일급 객체인 부분이나 고차함수, ES6의 문법은 사용되고 있지 않다. 주언어가 다른 개발자여도 이 책을 보기에 거부감이 들지 않을 것이다. 자바스크립트를 배우고 있는 나로써는 오히려 자바스크립트의 언어적 특성을 살린 리팩토링 책이 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나는 현재 짧은 프로젝트를 연속해서 하고 있다. 코드 리뷰도 받으면서 진행하고 있는데, 리팩토링을 해야 하는 코드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한 번 작성한..

    [Node] npm vs npx vs yarn

    npm, npx, yarn, bower 등은 모두 Node 프로젝트에서 설치되는 패키지들을 관리해 주는 툴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평소 npm을 사용하고, 서버에서 배포할 때는 npx 명령어를 사용했다. npm으로 설치하는 것과 같은 결과물이 나오는 다른 명령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의미를 정리해 보고자 포스팅한다. NPM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 Node.js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 npm은 node package manager 라는 말 그대로 노드에서의 패키지 관리자이다. 자바스크립트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node와 함께 설치하라는 Getting Started가 많고, 사용빈도가 높다. NPX npx는 execute npm package binaries의 줄임말로, npm에 속해 있는 n..